작성일시 : 2022/01.09
미니스탁을 깔고 어도비를 구매한지 거의 한달이 지난 지금까지도
어도비에 빨간불이 켜진걸 본적이 없다.
어도비 무슨일이야....
우선 나는 주식을 잘 모른다.
어도비툴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고 생각해서, 안정적이라고 생각한 투자다.
근데 왜? w.h.y
어도비는 호실적에도 주가하락, 10년만에 두번째 최악의 주가를 맞았다.
실적이 오르면 주가도 따라서 오르는게 이치가 아닌가?
흠 이게 무슨말인가? 한국어가 맞는지 모르겠다.

용어 정리
FY22: Fiscal year 미국의 회계년도를 의미한다.
*회계연도: 달력상의 연도와 다르다. 일정기간 동안 각 기업들의 재무상태를 평가하는 회계상부상의 연도다.
가이던스 매출:
EPS: E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eps는 기업이 1주당 얼마나 순이익 발생시켰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다.
따라서 eps가 높을수록, 꾸준히 증가할 수록 투자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주시에는 변수가 많기 때문에 무조권 투자가치가 높다기 보다는, 가능성으로 본다)
매크로 영향: 매크로는 사전적으로 '대규모의, 거시적인' 이라는 뜻을 가진다. 매크로 전략은 경제 상황을 크게 보고 투자하는 것이다. 거시경제상황이나 정치, 사회를 고려해야한다. 또한 매크로는 최근 '전체'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GNP의 대명사처럼 쓰이는 경우도 있다. (GNP는 국민복지의 약자다)
달러 강세: 달러 가치가 원화 가치보다 높게 측정됨. 파생되는 효과/ 수출 비중이 큰 기업들은 환율차익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익이 된다. (반대로 달러약세는 수입 비중이 큰 기업들에게 이익이 된다)
실생활에서는 달러 가치가 원화 가치보다 높게 측정 될 시 유학생들은 달러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증가한다. 반대로 달러약세는 동일한 한국돈으로 더 많은 달러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줄어든다.
어도비 문제점 정리(주가 폭락 이유)
첫째. 시장의 예상치를 밑도는2022미국회계연도 1분기 실적과 주당순이익을 발표해 향후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
둘째. 2021년은 53주 였으나 2022년은 52주로 전년대비 1주 감소한것을 따른 것이다.
셋째. Fraim.io 이수에 따른 후속 투자에 따른 거대한(다양한 사회적 요인)의 영향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2021년 기준 어도비의 지역별 매출 중 북미 외가 차지하는 비중은 43%로, 달러 가치가 원화 가치보다 늪게 측정되는 상황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가, 내년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면 실적대비 주가 수준 부담이 커질것이라는 우려)
첫번째가 주된 문제점이다. 월가의 예상보다 낮은 회사의 미래실적은 투자자들을 실망케 했다.
어도비 뿐만 아니라 고성장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성장둔화에 대한 불안감이 확대된 상황이다.
월가예상: 주당순이익 14.20달러
어도비 발표: 주당순이익 13.70달러
그러나 실적은 핑계일 뿐이고, 금리 인상 때문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어도비 호실적 정리
참고 자료
어도비 주가, 실적 예상치 실망에 10% 하락 - 연합인포맥스
(뉴욕=연합인포맥스) 윤영숙 특파원 = 미국 소프트웨어업체 어도비의 주가가 실적 전망치에 대한 투자자들의 실망에 10% 이상 하락했다. 16일(미 동부시간) 오후 1시 34분 현재 어도비의 주가는 전
news.einfomax.co.kr
어도비, 호실적에도 FY22 가이던스 하회에 주가↓···중장기 성장성↑ - 증권일보
지난 주 미국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작업체가 어도비 시스템즈(이하 어도비)가 컨센서스를 소폭 웃도는 2021년 4분기 회계연도(FY21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하고도 당일 주가가 10% 넘게 급락해 투자
www.s-d.kr
투자자인 당신! Macro를 알고 있는가?
주식 투자의 기초 #1-1 매크로 | * 전문투자자 및 금융업자가 아닌 일반 학생의 글입니다. * #1은 기초 이론 / #2는 종목분석 / #3은 투자전략입니다. * #1은 기초이기에 깊은 내용은 #3에서 다룰 예정
brunch.co.kr
달러강세 달러약세 뜻 개념 및 원달러환율 미국달러 환율 강세 약세 영향
달러강세 달러약세 뜻 개념 및 원달러환율 미국달러 환율 강세 약세 영향을 설명합니다. 달러 강세 약세와 같은 미국 달러환율관련 단어들은 경제뉴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단어입니다. 달러강
www.econowide.com